보도자료

국립한국문학관, 뿌리깊은 문학의 고장 `文鄕 대구`로(16.05.04 경북매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03-18 14:23 댓글0건

본문

이상화·이육사·김동리 등
한국 대표문인들 주 활동지역
문인배출 많은 도시임에도
문화시설 전국 13위 그쳐

 

icon_p.gif  
▲ 국립 한국문학관유치위원회는 지난 4월 21일 대구콘서트하우스에서 유치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유치 선언문을 통해 “국토균형발전과 문화균형 면에서 대구에 반드시 한국문학관이 건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시와 지역 문학계는 물론 시민까지 가세해 국립 한국문학관 유치에 총력전으로 나서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도서관, 공적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이 통합된 라키비움(Larchiveum)의 형태로 운영되는 한국문학관은 2019년까지 국비 446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지난해 도종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한 문학진흥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본격화되는 사업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상반기에 공모를 해 건립 부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문인과 문학 유산을 수집·관리·보존·조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한국문학관 유치는 근현대 문학 100년 역사를 집대성하고 통합관리하는 전초 기지를 마련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이와 함께 창작 지원과 다양한 지역 발전시설과의 연계가 가능해 대구시를 비롯해 전국 10여개 지자체에서 유치전에 뛰어드는 등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역 문학·예술계 손잡고  
대구유치 100만명 서명운동 
대구예술창작촌 건립 추진 등 
`문학의 관광명소` 조성 계획 




□ 국립 한국문학관 대구 유치 당위성 



대구시와 지역 문학계는 문학의 발생지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문향의 도시인 대구에 한국문학관이 유치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인 김시습의 금오신화 산실이 경주이고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것도 경북 군위의 인각사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이상화, 이육사, 현진건, 이장희, 백기만, 김동리 등 지역출신 문인을 비롯해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항일저항 문인들이 활동한 곳도 대구다.  

1945년 전국 최초로 죽순시인구락부가 설립되고 영남시조문학회, 영남수필, 대구아동문학회 등 장르별 동인들이 결성됐으며, `아동`, `죽순` 등 잡지가 1946년 잇따라 대구에서 창간됐다.

또 우리나라 최초의 시비인 이상화 시비가 1948년 3월 대구 달성공원에 세워졌다.

6·25전쟁 당시에는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문인들이 대구에서 주 무대로 활동했으며, 이들의 주 활동 무대인 찻집과 술집 등이 향촌동에 아직 현존하고 있어 문인의 숨결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다.  

당시 대구문인과 피란문인들이 `문총구국대`, `육군종군작가단`, `공군종군문인단`을 결성해 전선시첩, 전선문학, 창공, 공군순보 등을 발간했다. 전쟁 중인 1952년에는 최초로 이상화와 고월 이장희의 이름을 딴 전문문예교육기관인 `상고예술학원`이 문을 열어 조지훈·구상·김동리·김동진·이은상·이효상·정비석 등 기라성 같은 예술인들이 활동했다. 

국내 문화시설의 40%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등 편중현상이 심해 문화시설의 지방 분산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대구는 서울을 제외하면 문인이 가장 많은 도시인데도 불구하고 국립 대구박물관을 제외하고는 국립문화시설이 없고 문화시설 기반은 대구의 경우 17개 광역시·도 중 13위에 그치고 있다.



□ 문학관 연계 `민족시인 거리` 추진 



지역 문화계는 물론 시민까지 한국문학관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구시는 권영진 시장이 지난 3월10일 박근혜 대통령 대구 방문 때 한국문학관 대구 건립을 건의했다.

대구시는 중구 향촌동 대구문학관과 이상화 고택, 이육사 고택 등으로 이어지는 `민족시인거리`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거리가 조성되면 인근 곳곳에 대구가 배출한 문인들을 알리는 다양한 시설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 문인들도 한국문학관 대구 유치에 힘을 모으고 있다.

대구문인협회와 대구예총, 경북문협, 경북예총은 지난 3월말부터 2·28기념공원 등 도심에서 국립문학관 대구 유치 100만명 서명운동을 시작했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서명에 나섰으며, 시민들의 반응도 뜨겁다.  

지난달 1일에는 지역문인, 예술인, 교수, 언론인, 정치인 등으로 `국립 한국문학관 대구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4·13 총선을 앞두고는 국회의원 출마자를 대상으로 선거공약 채택을 건의했으며,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당선자는 선거 기간 중 한국문학관이 대구에 유치에 힘을 싣기도 했다.

□ 국립 한국문학관의 세계화 



대구에는 국립 한국문학관 입지로 접근성이 뛰어난 두류공원 일대와 경북도청 후적지 등이 거론되고 있다. 두류공원 일대에 한국문학관이 유치되면 인근의 대구문화예술회관과 코오롱야외음악당, 예타 중인 CT공연플렉스파크, 출판산업지원센터 등과 연계해 관광 명소로 발전이 가능하다.

또 인근에 2016~2020년까지 사업비 400억원을 투입하는 대구 예술창작촌 건립을 연계할 경우 세계적으로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문화예술창작전진기지가 만들어져 향후 한국은 물론 세계 문학의 확장성과 문학을 통한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한국 문학축제는 물론 세계적 문학축제 개최도 가능하고 인근의 83타워와 연계하면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향유하는 것은 물론 관광도 함께 즐길수 있는 등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성장 가능성도 높다. 



□ 유치위 출범·포럼 열고 유치 활동 본격화 



지난 4월21일에는 대구콘서트하우스에서 대구유치위원회 출범식을 가졌고 22일에는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포럼도 개최했다. 

추진위 공동위원장은 이상희 전 내무부 장관과 신상철 전 대구시교육감이, 상임위원장은 장호병 대구문인협회장, 류형우 대구예술인총연합회장, 김주한 경북문인협회장, 이병국 경북예술인총연합회장이, 대외협력위원장에는 이상규 경북대 교수가 각각 선임됐다.

추진위는 출범식에서 대구유치선언문을 통해 “대구는 고대문학은 물론 근·현대문학의 산실 중 한 곳이다”며 “국토균형발전과 문화균형 면에서 대구에 반드시 한국문학관이 건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22일에는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지역 문인과 문화예술인, 시민단체 회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한국문학관 대구유치를 위한 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은 `대구문학의 역사성과 그 미래` 등을 주제로 장호병 대구문협회장이 진행을 맡아 이상규 경북대 교수, 오동욱 대경연구원 박사 등이 발제하고 김용락 민족작가회장, 김선굉 전 대구시인협회장이 토론을 벌였다. 국립한국문학관 대구유치 공동위원장을 맡은 이상희 전 장관은 “대구는 근·현대 문학사적 역사성과 차지하는 비중에서 대구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으며, 전국 어디에서나 접근성이 우수한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망 구축돼 대구가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의 최적지다”며 “여기에 시·도민들의 뜨거운 유치열기를 더해 국립한국문학관을 반드시 유치할 수 있도록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밝혔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는 근현대문학의 본향으로서 역사성과 지리적으로 가장 최적지”라며 “대한민국 문학사업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한국문학관이 대구에 건립된다면 대구시는 전국민은 물론 세계인들이 찾아오는 문화예술창작전진기지가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구·경북 건축가회 대구 국악협회 대구 무용협회 대구 미술협회 대구 사진작가협회 대구 연극협회 대구 연예예술인협회 대구 음악협회

대구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704-915 대구시 달서구 공원순환로 201 문화예술회관 예련관 2F

Tel.053)651-5028   Fax.053)628.7937

페이스북 지도 유튜브